[Spring] REST 방식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 번 클릭 부탁드립니다. 한 번의 클릭이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로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Resource)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는 개념에 전송방식을 결합해서 원하는 작업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boards/123'은 게시물 중에서 123번이라는 고유한 의미를 가지도록 설계하고, 이에 대한 처리는 GET, POST 방식과 같이 추가적인 정보를 통해서 결정합니다. 따라서 REST 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URI + GET/POST/PUT/DELETE/... 스프링은 @RequestMapping이나 @ResponseBody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