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끄적끄적 36

50분 걸리는 작업 시간을 1분으로 개선.

50분 걸리는 작업 시간을 1분으로 개선.  긴 글 싫어하면 스크롤 조금 내려주세요.  그룹사 ERP 시스템 담당자, 개발자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는 여러 사람이 참여한다. 21년 초부터 그룹사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ERP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 그룹사 ERP 시스템이다 보니 여러 사람, 여러 회사와 함께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처음 그룹의 모기업을 대상으로 먼저 시스템을 완성한 후 다음 회사, 다음 회사 하나씩 만들어갔다. 우리 팀은 PM, PL로 이끌어가는 팀에 속했고,  타 회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미팅을 나가곤 했는데, 나는 거의 미팅에 나가지 않고 타 팀원분들이 미팅에 나갔다. 그룹사가 사용하지만 계열사마다 다른 요구사항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모든 기능을 다 알기는..

끄적끄적 2024.09.18

서비스 기획이 궁금한 개발자

서비스 기획이 궁금한 개발자 요즘 평생직장은 없다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나만 하기에는 세상이 너무 빠르게 변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개발을 하고 있지만 다른 것도 배워야 한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다양한 스킬 중에서 오늘은 서비스 기획 관련하여 제 생각을 써보려고 합니다. 현재 재직하고 있는 회사에선 서비스 기획 직무가 존재하지는 않지만, 개발자임에도 업무를 하다 보면 서비스 기획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로 B2C를 주로 하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 기획이 빡빡(?) 하지는 않고, 사용자(현 업무 담당자, 현업)와 합의되면 OK입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 도출,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배포 이렇게 하고 있는데 도출, 분석, 설계가 기획의 영역이겠죠.   어떤 것을 ..

끄적끄적 2024.07.26

개인의 목표와 회사의 목표를 일치시켜라.

개인의 목표와 회사의 목표를 일치시켜라.   구 신사임당, 현 주언규 PD님의 유튜브 영상에서 위와 같은 말을 하는 것을 봤습니다.일단 저는 동기 부여받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어서 위 말과 뒷받침되는 근거에 대해 설득됐습니다. 작가 pikisuperstar 출처 Freepik  제 방식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잠을 줄여 회사 외 시간에 나의 목표를 위한 활동을 하는 것과회사의 목표와 나의 목표가 일치한 상태로 하루를 사는 것과어떤 것이 성장 속도가 빠를까? 우리 모두에게는 하루 24시간이 똑같이 주어집니다. 하루 24시간을 크게 8시간씩 3분 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잠자는 8시간회사에서 근무하는 8시간나의 8시간총 24시간 단순하게 보겠습니다. 나의 8시간을 온전하게 나의 목표를 위한 활동하는 ..

끄적끄적 2024.07.22

주기적으로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주기적으로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몇 달 전 책 역행자를 읽고, 매일 책을 읽고 글을 쓴다고 다짐했었는데 글을 안 쓰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예전에는 공부하는 내용, 코드 등을 갖고 와 붙여 넣고 해서 분량을 자연스럽게 채우며 글을 쓸 수 있었다. 지금도 공부하면서 그런 글은 충분히 쓸 수가 있다. 지금은 그런 글은 조금 지양하고 싶다. GPT가 찍어내는 내용도 쓰고 싶진 않다. 내가 사고하고 얻은 인사이트에 대한 글을 쓰고 싶다. 라고 썼지만,사실 지양할 필요도 없고그냥 글을 쓰면 되는 것이다.그냥 글을 안 쓴 내가 핑계된 거다.   사람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살아가고 있다.유튜브를 보면 비슷한 콘텐츠가 여러 채널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오고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그런데 ..

끄적끄적 2024.07.22

도서 '역행자' 를 읽고.

어떤 지식을 전달하는 글을 쓰는 게 익숙했었다. 그래서 지식을 전달하는 글이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쓴다고 할 때면 지금처럼 어려움을 느낀다. 최근 자청의 책 '역행자'를 읽고 있는데, 하루에 독서와 글쓰기를 2시간 정도 하라고 한다. 과거에는 독서를 그래도 인생사 비교적 많이 하는 편이었는데, 요즘에는 많이 하지는 않고 있었다. 그리고 글은 쓰는 것(내게는 블로그 글 쓰는 것)도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작성했었고, 실습을 하면서 코드나 결과에 대한 설명 글이었는데, 스토리를 정리해서 쓰려고 하니 쉽지 않은 것 같다. 그럼에도 이러한 글쓰기 훈련을 통해 나의 글쓰기 스킬이 성장하길 바라면서 이렇게 글을 써본다. 아직 다 읽지는 않았지만, 그냥 읽은 데까지의 느낀 점을 써보자. 여기서 말하는 것들이..

끄적끄적 2024.05.02

THE ONE THING | 원씽 찾기

THE ONE THING | 원씽 찾기 원씽이라는 책을 일부 읽고 나 또한 그렇게 생각했다. 가장 중요한 하나에 집중하고 그 하나만 하는 것. 그럼에도 나는 욕심이 참 많은지 하고 싶은 게 너무나 많았다. 성공하고 싶은 욕심이 가득하지만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은 것 같다. 그럼에도 딱 한 가지를 뽑아야 하겠지. 내가 이상향으로 생각하고 있는 모습은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것이다. 시스템을 만들거나, 많은 자산을 갖거나 하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아쉽게도 내가 하고자 하는, 하고 싶은 방법이 딱 떠오르진 않다. 어찌 되었든 많다면 줄여야 한다. 그래서 나는 원씽을 도출하기 위해 조금이라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에 대해 제거하는 것이 원씽을 찾아가는 방법이라고 생각을 했다. 우선 개발자로서 인정을 받고 싶은 부..

끄적끄적 2024.03.21

기분 나쁘게 댓글 달고 튀지 맙시다.

기분 나쁘게 댓글 달고 튀지 맙시다. 조금은 감정적인 글 주의 기분 나쁘게 댓글 달고 튀는 사람 너무 싫다. 길 가다가 나자빠져서 코 깨지고 무릎 깨졌으면 좋겠다. 내가 작성했던 글 중에 Docker Image 삭제하기 관련된 글을 올린 적이 있다. 해당 글에서 도커 이미지 삭제 명령어를 $ docker image rm 으로 표현을 했었다. 그런데 오늘 댓글로 rm은 컨테이너 삭제고, rmi는 이미지 삭제라고 하면서 제대로 알고 올리고, 좋아요고 나발이고 라는 표현을 하면서 댓글을 달았다. 확인해보려고 하니 댓글을 삭제했다. 그래서 내가 잘못 써서 올린건가 싶어서 내가 쓴 글을 다시 확인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 글도 확인했다. 다른 사람들의 블로그에는 보통 docker rm 혹은 docker rmi라는..

끄적끄적 2023.10.13

주말에 줄어드는 블로그 방문자 수 어떻게 늘릴까?

주말에 줄어드는 블로그 방문자 수 어떻게 늘릴까? 이 블로그는 IT 테크 주제의 글을 주로 올리는 블로그입니다. 그러한 이유 때문인지 평일인 주중에 방문율이 주말에 비해서 2~3배는 많은 편입니다. IT 테크 관련 주제로 글을 올리면 관련 글을 찾는 사람들이 대부분은 개발자이거나 개발을 공부하는 학생들일 것 같은데요. 그렇다 보니 평일인 주중에 업무가 이루어지고, 학습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에 맞추어서 주말보다는 평일, 주중에 블로그 방문율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말에는 항상 낮은 블로그 유입률, 방문자 수를 볼 수밖에 없었는데요. 블로그에 주말 방문자수를 어떻게 하면 늘릴 수 있을지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우선 제 블로그는 IT 테크 블로그이기 때문에 평일에 방문자 수가 많고, 주말과 휴일..

끄적끄적 2023.07.16

어렵지만 사이드 프로젝트 주제 정하기

어렵지만 사이드 프로젝트 주제 정하기 현재에 만족하나? 그렇지 않다. 저성장 시대에 화폐 가치는 계속 낮아지고, 월급이 올라도 물가 상승률은 못 따라가는 현실, 불안정함 속에서 살아가는 것 같은 요즘이다. 이젠 월급이 올라도 물가 상승률에 못 미치는 월급은 줄은 것으로 봐야 하는 판국이다. 그렇다고 부정적인 생각과 부정적인 말만 하면 더 답이 없다. 더 나은 삶을 위해 가치 있는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 상황에서 더 나아지기 위해 현실을 지각하고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동기부여를 하려고 이렇게 글을 쓰고 있다. 매번 하는 생각이지만 실제로 실천을 못했다. 그래서 실천하기 위해 글로 박제를 하여서 진행하는 과정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무엇'은 바로 사이드 프로젝트이다..

끄적끄적 2023.07.08

Ubireport 급여지급대장 그룹핑 페이지 점검사항

Ubireport 급여지급대장 그룹핑 페이지 점검사항 이 글은 Ubireport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ubireport 작업 중에 복기하기 위해 기록하는 글입니다. 급여지급대장 report가 있는데 항목이 추가되거나 양식이 수정될 때 열어보게 된다. 최근에 추가된 급여(임금) 항목들이 그룹핑 페이지가 아님에도 그룹핑 영역에 계속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해결하게 되면서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한다. 우선 리포트의 페이지가 2개 페이지로 구성이 되어 있다. 첫 번째 페이지는 개인별 지급내역을 나타내고, 두 번째 페이지는 부서별 그룹핑한 합계가 출력된다. 그런데 첫 번째 페이지, 두 번째 페이지 모두 그룹핑 데이터를 나타내는 영역을 같이 사용하게 되어 있다. 이유는 첫 번째 페이지 역할..

끄적끄적 2023.05.19
728x90
반응형